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한국인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은 김치의 7가지 효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인기글
김치 7가지 효능
김치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발효 식품이자 슬로우 푸드(slow food)입니다. 한국인의 1인당 김치 섭취량은 하루 평균 약 62.4g(2016년 기준)이라고 합니다.
김치의 3대 웰빙 성분으로 첫째, 주재료인 배추 등 녹황색 채소, 둘째, 부재료인 고추 등 다양한 향신료 양념의 성분, 셋째, 유산균 발효 과정 중 생성되는 발효 산물로, 비타민 B1·비타민 B2·비타민 C 등 비타민, 칼슘·칼륨 등 미네랄, 식이섬유, 유산균이 풍부한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김치 속 유산균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전북대학교 차연수 교수팀은 최근 20년 동안 국내·외에서 발표된 김치 관련 연구논문 590편(한글 논문 385편, 영어 논문 205편)을 분석했다고 합니다. 이 연구결과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발표된 김치 관련 연구결과를 통해 김치의 7가지 건강 효능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아토피·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룰 활용한 연구에서 김치를 하루 40g 미만 섭취하는 사람에 비해 그 이상으로 섭취하는 사람의 천식 유병률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19~49세 성인의 김치 섭취와 아토피 피부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역학 연구에서는 김치는 하루 85~158g 섭취하는 사람은 0~36g 먹는 사람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의 위험도가 0.68배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고 합니다.
비염 유병률도 김치를 하루 108~180g 섭취하는 사람이 0~23.7g 먹는 사람보다 0.81배 낮았다고 합니다.
두 번째,
항암
김치가 항암식품으로 기대를 모으는 것은 배추·무·갓·마늘·고추 등 암 예방 채소가 김치의 재료여서입니다.
김치 속의 항암성분으로는 인돌-3-카비놀(배추)·아이소사이오시아네이트(배추)·알린 설파이드(마늘)·캡사이신(고춧가루) 등이 꼽힌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이 김치가 위암·간암·대장암·페암·방광암 등 다양한 암의 억제에 유익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은 그래서입니다.
농촌진흥청은 김치가 적당히 숙성했을 때 항암효과가 커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었습니다. 마늘·생강·고춧가루·쪽파 등양념이 들어간 김치를 적당히 익힌 뒤 위암 세포(MKN45)에 가했더니 발효시키지 않은 김치보다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4~10%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양념의 종류별로 암세포 성장 억제율은 고춧가루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마늘이었다고 합니다.
세 번째,
소화촉진
소화가 잘 되고 장을 깨끗이 하는 정작 작용을 한다는 것도 김치의 매력입니다. 이는 발효과정에서 생기는 유산균 덕분입니다. 과거에는 김치의 유산균은 장까지 도달하기 전에 대부분 죽는 것으로 알려졌었습니다.
위에서 위산의 공격을 받으면 생존하지 못할 것으로 여겨서입니다. 그러나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김치를 하루 300g정도 먹으면 대장에 유산균이 100배가량 증가(김치를 안 먹은 사람 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네 번재,
항비만
입맛을 살려주지만 살찌게 하지는 않는다는 것도 김치의 돋보이는 점입니다. 김치의 열량은 100g당 9(동치미)~55kcal(파김치)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배추김치는 29kcal이며, 게다가 고추의 매운맛 성분(캡사이신)은 지방의 분해·연소를 돕는다고 합니다. 김치에 든 식이섬유는 금세 포만감을 느끼게 하고, 배설을 촉진시킨다고 합니다.
다섯 번째,
유해균 억제
김치는 식중독균 등 유해 세균을 죽이는 항균 채소로도 유명합니다. 이 역시 유산균 덕분으로 윤산균은 김치 속 식중독균 등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한다고 합니다. 김치가 발효됨에 따라 유산균이 증식하여 젖산을 생성하고, pH가 자연스럽게 낮아지게 된다고 합니다.
여섯 번째,
빈혈 예방
성인 남성에게 4주간 배추김치를 하루 300g씩 섭취하게 한 결과 혈중 철분(iron) 농도와 흡수를 돕는 페리틴(ferritin) 수치가 높아졌다고 합니다. 이는 주로 철분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빈혈을 예방하는데 김치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일곱 번째,
혈관 질환 예방
건강한 성인에게 6주 동안 매일 배추김치 동결건조 알약(30g)을 섭취하게 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과 동맥경화 지수를 낮추고, 혈관 건강에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합니다.
지역별 김치 종류와 효능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 11월 22일은 소설(小雪)이기도 하고, 김치의 날이기도 하다고 합니다. 식품이 들어간 법정기념일은 물의 날과 김치의 날, 둘뿐이라고 합니다. 이 점은 국내에서 김
plantfood.tistory.com
김장김치 맛있게 담그는 방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김장의 계절이 돌아왔지만, 일명 '김포족'(김장을 포기한 이들)이 늘어난 상황이라고 합니다. 올해는 배추와 무, 파까지 줄지어 가격이 오르면서 김장을 준비하는 손이
plantfood.tistory.com
지역별 대표 김치와 효능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지역별 김치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김치는 우리의 전통 음식일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무척이나 좋은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김치의 맛
plantfood.tistory.com
열무국수 만들기(열무김치 효능)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9월까지만 해도 열무가 제철이라 많이들 열무김치를 담그셨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알타리무를 뽑아서 알타리김치를 담그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집에서 조금씩
plantfood.tistory.com
김장 김치 보관법(김치 종류·효능·보관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김장은 춥고 긴 겨울 동안 먹을 수 있는 많은 양의 김치를 담그는 우리나라만의 고유문화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김장철을 맞이하여 김치의 종류, 효능, 보관법 등을 알
plantfood.tistory.com
김치의 고춧가루 효과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김치에 빠지지 않는 '고춧가루'가 김치의 기능성 물질 생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자세한 정보 알아보겠습니다. 김치의 고춧가루 효과 세계김치연
plantfood.tistory.com
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그럼 여기까지 김치 7가지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맛있는 산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몽 넣은 꿀호떡 만들기 (0) | 2025.02.11 |
---|---|
애플파이 만들기 (0) | 2025.02.02 |
굴 떡국·얼큰 떡국(이색 떡국) 만들기 (0) | 2025.01.31 |
곱창 효능과 손질법 및 섭취시 주의사항 (0) | 2025.01.30 |
꿀 마늘빵 만들기 (2) | 2025.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