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치매 위험' 체중량 증가는 높이고 지방량 감소는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인기글
'치매 위험' 체중량 증가는 높이고 지방량 감소는 낮춘다!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한국인의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근육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줄이고, 반대로 지방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높인다는 상관관계를 밝혀냈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는 체중 관리만으로는 치매 예방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며, 근육량과 지방량의 변화(체성분 변화)가 치매 위험 예측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김성민 연구교수와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연구팀은 약 1,300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체성분 변화가 치매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10월 30일 발표했다고 합니다.
치매는 기억력, 인지능력, 의사결정능력 등 정신적 기능의 저하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빌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5,500만 명 이상의 환자가 있으며 매년 약 1,000만 명 이상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비만이 치매 발생의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만과 치매 간의 관계는 비만을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입니다. 비만의 척도로 흔히 사용되는 체질량지수(BMI)는 체내 근육량과 지방량을 구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지방과 근육량을 포함한 체성분을 고려한 치매 위험 평가가 필요합니다.
또한, 성별과 연령에 따라 근육량 및 지방량의 구성과 치매 위험이 다를 수 있어, 연구팀은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체성분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다 정교한 위험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2009~2010년의 1차 검진과 2011~2012년 2차 검진을 받은 치매 방력이 없는 성인 13,215,20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연구팀은 기존에 검증된 예측 방정식을 사용해 제지방량(pLBMI), 사지근육량(pASMI), 체지방량(pBFMI)을 추정했으며, 각 지표는 각각 체중에서 지방을 제외한 체성분, 팔과 다리의 근육량, 신체의 지방량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후 두 차례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비교해 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고, Cox 비례 위험 회귀 분석을 통해 근육량과 지방량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약 8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고 합니다.
연구 결과, 근육량이 증가할수록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치매 발생 위험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남성의 경우 제지방량이 1kg/㎡ 증가할 때 치매 위험이 15% 감소했으며, 여성은 31% 감소했다고 합니다. 사지근육량이 1kg/㎡ 증가할 때 남성은 30%, 여성은 41%까지 치매 위험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반면, 지방량의 증가는 치매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결과를 보였으며, 체지방량이 1kg/㎡ 증가할 때 남성은 치매 위험이 19%, 여성은 53%까지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향은 나이, 성별, 기존 체중, 체중 변화와 관계없이 모든 그룹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한, 60세 미만의 연령층에서 근육량과 지방량 변화가 60세 이상보다 치매 위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젊은 시기부터 근육량을 늘리고 지방량을 줄이는 것이 노년기 치매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대규모 전국 단위 역학 연구를 통해 체성분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검증한 것이라며, 복잡한 측정 장비 없이 신뢰성 있는 방법을 사용해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박상민 교수(가정의학과)는 "이번 연구는 근육량 증가와 지방량 감소가 치매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줬다"라며 "단순히 체중 변화만 고려하기보다 체성분 관리가 치매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고 합니다.
김성민 연구교수(융합의학과)는 "이번 연구는 장기적인 치매 예방을 위해 젊은 시기부터 체성분을 관리하는 것의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밝힌 대규모 연구"라며 "젊은 때부터 근육량을 늘리고 지방량을 줄이는 관리가 노년기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신경학회 '임상 및 중개신경학회지(Annals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Neur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합니다.
하루 10분만 걸어도 기대수명 1년 연장 가능!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하루 고작 10분만 걸어도 기대 수명이 1년 연장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 인기글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와인 종
plantfood.tistory.com
비타민D 섭취 사망 위험 낮춘다!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비타민 D 섭취가 사망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인기글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와인 종류와 와인 종류
plantfood.tistory.com
단백질 섭취 많을수록 치매예방에 좋다!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단백질 섭취 많을수록 치매예방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 인기글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와인 종류와 와인 종류
plantfood.tistory.com
중증질환 진료비 부담 줄이는 '중증질환 산정특례제도'란?
중증질환 진료비 부담 줄이는 '중증질환 산정특례제도'란?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중증질환 진료비 부담 줄이는 '중증질환 산정특례제도'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인기글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와인 종류와 와인
plantfood.tistory.com
노년기 채식주의자 치매 위험 높다!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노년기의 채식주의자는 치매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하여 자세한 정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와인 종
plantfood.tistory.com
변비 알츠하이머 걸릴 위험 2배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변비에 자주 걸리게 되는 경우 알츠하이머 걸릴 위험이 2배로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인기글 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 와인
plantfood.tistory.com
단기기억력이 좋아지는 방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단기기억력이 좋아지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인기글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와인 종류와 와인 종류별 특징건강한 혼술이란? 혼
plantfood.tistory.com
잠꼬대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잠꼬대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 와인 종류와 와인 종류별 특징 건강한 혼술이란? 혼술 안주 추천 15 소금
plantfood.tistory.com
노화 늦추는 슈퍼푸드(율무·들기름·아스파라거스·마키베리)
노화 늦추는 슈퍼푸드(율무·들기름·아스파라거스·마키베리)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노화 늦추는 슈퍼푸드(율무·들기름·아스파라거스·마키베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 와인 종류와 와인 종류별
plantfood.tistory.com
자료 = 리얼푸드
그럼 여기까지 '치매 위험' 체중량 증가는 높이고 지방량 감소는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한 식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 예방' 체지방 빼고 근력운동 해라! (3) | 2024.11.01 |
---|---|
'계란 프라이' 기름에 타면 심장질환·암 등 발병 위험 증가 (1) | 2024.10.31 |
'팔꿈치 골관절염' 팔꿈치가 몸 바깥으로 휜 경우 더 심해진다! (2) | 2024.10.29 |
40대 잠을 잘 자지 않으면 50대 후반 뇌 노화 3년 빨라진다! (1) | 2024.10.29 |
유기농 채소 자주 먹으면 구충제 복용해야 할까? (2) | 2024.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