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여름철 바다, 즐겁기만 한가요? 최근 해양수산부는 '보름달물해파리' 대량 발생에 따라 2025년 해파리 위기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고 합니다. 해파리는 보기에는 아름답지만, 강한 독성 촉수로 사람을 쏘며, 특히 어린이나 수영 초보자에게는 심각한 통증·쇼크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생물입니다. 해파리 출몰 시기에는 사전 정보와 응급처치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하며, 쏘였을 경우 대처 방법을 몰라 피해가 커지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파리 위기경보 발령 기준, 자주 출몰하는 보름달물해파리 특징, 해파리에 쏘였을 때 응급처치법을 총정리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해파리 주의보 발령! 보름달물해파리·응급처치법 총정리
무더워진 날씨에 여름휴가로 바다를 찾는 분들 많으실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 해양수산부가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하면서 해변 안전에도 주의가 필요해졌습니다. 그렇다면 안전한 여름휴가를 위한 해파리 예보 현황부터 응급처치법까지 지금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관심' 단계 발령
국립수산과학원과 지자체에서 올해 3월부터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 해파리를 예찰했습니다.
보름달물해파리는 경남 거제시와 자란만 일대에서 ha당 최대 820,895 개체까지 출현하였고, 10cm 미만 작은 개체들이 출현했음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 거제시 일대 : 289~2,848개체/ha, 유·성체(평균 1,470개체/ha),
자란만 일대 : 10,125~820,895개체/ha, 유·성체(평균 285,437개체/ha)
이에, 국립수산과학원은 '부산·경남 남해 앞바다'에 해파리 예비주의보 특보를 발표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단계별 발령 기준에 따라 '관심' 단계를 발령했습니다.
보름달물해파리 대량발생 주의
보름달물해파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해파리로, 독성은 약하지만 대량으로 발생 시 어업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올해는 2~3월 저수온으로(-1.6~2.2℃) 인해 해파리 발생 시기가 작년 대비 2주 이상 늦어지고 있지만, 향후 수온이 상승하고 먹이량이 풍부해지면 대규모 성체 출현과 해류 흐름에 따른 주변 해역으로의 확산이 전망되고 있다고 합니다.
보름달물해파리 vs 노무라입깃해파리
구분 | 보름달물해파리 | 노무라입깃해파리 |
출현 시기 | 6~8월 | 7~10월 |
주 출몰 지역 | 남해·동해 | 남해·서해 |
크기 | 15~25cm(우산형) | 최대 2m, 200kg 이상 |
독성 | 약~중간(통증, 발진) | 매우 강함(쇼크, 실신 가능) |
대량 출현 빈도 | 잦음 | 비교적 드묾(일부 연안에 한정) |
주의 대상 | 어린이·노약자 | 전 연령군 주의 필요 |
해파리 위기경보 발령 기준
그렇다면 해파리 위기경보 발령 기준과 특보 발표 기준은 어떻게 나뉠까요?
해파리 위기 경보 발령 기준
(발령 주체 : 해양수산부장관)
위기경보 수준 | 발령 기준 |
관심 | 해파리 주요 발생 시기(수과원 출현 전망) 또는 해파리 예비주의보 발표 1개 해역 |
주의 | 해파리 예비주의보 발표 2개 해역 |
경계 | 해파리 예비주의보 발표 2개 해역 및 해파리 주의보 발표 1개 해역 |
심각 | 해파리 주의보 발표 3개 및 해파리 경보 발표 1개 해역 |
해파리 특보 발표 기준
(발표 주체 : 국립수산과학원장)
종류 | 규모 | 해파리 출현량(마리/ha) |
예비주의보 | 해파리 성체의 국지적 대량 출현 및 어업피해 우려 | - 보름달물해파리 : 300마리/ha -노무라입깃해파리 : 10마리/ha ※ 5개 시·군·구 이상, 해파리 어업인 모니터링 발견율 50% 이상 |
주의보 | 해파리 성체가 광역해역에서 대량 출현 및 어업 피해 발생 | - 보름달물해파리 : 1,000마리/ha - 노무라입깃해파리 : 5마리/ha ※ 10개 시·군·구 이상, 해파리 어업인 모니터링 발견율 50% 이상 |
경보 | 전 해역에서 해파리 대량발생 및 어업피해 속출 | - 보름달몰해파리 : 5,000마리/ha - 노무라입깃해파리 : 300마리/ha 6개 광역 시·도 이상, 해파리 어업인 모티터링 발견율 80% 이상 |
국립수산과학원장은 해파리 생물량, 해황 및 해역의 특성에 따라 피해가 우려될 경우 해파리 출현량에 관계없이 해파리 특보를 발표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특보 기준은 해파리 출현량을 바탕으로 제시된 것이며, 어업 피해를 판단하는 기준은 아니라고 합니다.
해파리 응급처치법
혹시 해파리를 발견하거나 쏘이게 된다면?
아래 응급처치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해파리 발견 시 >
① 해파리 발견
② 즉시 물 밖으로 나오기
③ 해파리 Web을 통해 신고하기
e-연구바다
국립수산과학원 e-연구바다
www.nifs.go.kr
※ 검색 방법
해파리 신고 검색 → 해파리정보시스템·국립수산과학원 홈페이지 접속 → 해파리 신고 Web 클릭
< 해파리에 쏘였을 시 >
① 해파리에 쏘임
② 바닷물 또는 식염수로 쏘인 부위 세척하기
③ 핀셋, 카드 등으로 가시 제거
④ 안전요원에게 신고 후 응급처치받기
⑤ 열이 나거나 통증이 지속되면 즉시 병원 방문하기
해파리 쏘임 증상 단계별 응급처치
1단계 : 가벼운 쏘임(발적, 따끔거림)
- 바닷물로 상처 부위 세척
- 촉수 제거(핀셋 사용, 맨손 금지)
- 냉찜질로 통증 완화
- 병원은 꼭 방문 권장
2단계 : 중증 쏘임(통증 지속, 발진 확대)
- 병원 즉시 내원
- 피부 약품 자극 금지(알코올, 식초 등 X)
- 쇼크 증상 발생 시 119 요청
3단계 : 호흡곤란·어지럼증·구토 동반
- 즉시 119 긴급 연락!
- 환자 눕히고 안정을 취하게 함
- CPR 등 필요시 기본 응급처치 시행
여름철 바닷가 물놀이 응급 키트 리스트(해파리·벌레쏘임·상처·햇빛 대비 등)
✔ 식염수 : 응급 세척(해수 대용)
✔ 핀셋 : 해파리 촉수 제거
✔ 멸균 거즈 : 상처 덮기
✔ 국소진통제 연고 : 통증 완화
✔ 냉찜질팩 : 통증 완화
✔ 벌레·쏘임 연고 : 2차 감염 방지
✔ 진통제(타이레놀 등) : 통증·열 조절
✔ 자외선 차단제 : 일광화상 예방
✔ 휴대용 응급처치 설명서 : 당황하지 않고 대처 가능
콘택트렌즈 관리할 때 꼭 지켜야할 것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콘택트렌즈 관리할 때 꼭 지켜야 할 것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 와인 종류와 와인 종류별 특징 건강한 혼
plantfood.tistory.com
해외여행 상비약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오늘은 해외여행 상비약 리스트를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음식) 와인 종류와 와인 종류별 특징 건강한 혼술이란? 혼술 안주 추천 15 소
plantfood.tistory.com
안전한 여름철 등산을 위해 꼭 알아야 할 것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요즘 무더운 날씨를 피해 휴가를 떠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특히, 여름철 등산은 푸른 자연을 볼 수 있어 힐링이 됩니다. 오늘은 안전하게 여름철 등산을 즐
plantfood.tistory.com
벌써 장마 시작? 침수 피해 줄이는 실천 팁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올여름, 장마가 예년보다 빠르게 찾아옵니다. 갑작스러운 폭우와 침수 피해를 줄이려면 미리 대비하고, 상황별 행동요령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plantfood.tistory.com
에어컨 바람 피부 손상?! 여름철 피부지키는 5가지 방법
에어컨 바람 피부 손상?! 여름철 피부지키는 5가지 방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시원한 에어컨 바람은 피부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름철 피부 지키는 5가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음식 궁합(찰떡 궁합 VS 상극
plantfood.tistory.com
자료 = 한국환경공단
해파리는 해수욕장 근처에서 예고 없이 출몰할 수 있습니다. 주의보나 경보 발령 정보를 꼭 확인하고, 바다에 들어갈 때는 어린이와 함께일수록 더 신중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응급처치는 늦으면 후유증이 생기고, 잘못된 민간요법(식초, 알코올 사용 등)은 오히려 독을 퍼지게 할 수 있습니다. 미리 알고 있으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까지 여름철 해변 주의해야 할 해파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요리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달라지는 돌봄통합지원 제도 총정리 – 어떤 도움 받을 수 있을까? (2) | 2025.07.03 |
---|---|
설렁탕 속 무지개빛 고기.. 혹시 상한 걸까? 진실 공개! (1) | 2025.06.16 |
벌써 장마 시작? 침수 피해 줄이는 실천 팁 (4) | 2025.06.13 |
생선 비린내 확실히 잡는 법! 레몬 없이도 가능한 꿀팁 6가지 (3) | 2025.06.09 |
상병수당 총정리! 신청 방법부터 대상자·제외대상까지 한눈에 (6) | 2025.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