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맛있는 산들 음식

쉽고 편한 별미 '달걀초밥' 만들기

by 니~킥 니~킥 2022. 6.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입맛이 도통 살지 않는 요즘, 별미 생각이 간절해집니다. 이럴 땐 우리집 냉장고 속 상비군 '달걀'로 특별한 한 끼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달걀초밥 만드는 방법과 한 가지 더, 달걀 제대로 고르는 방법 및 올바른 보관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인기글

소금빵(시오빵)에 빠진 요즘 사람들

싹 난 감자 도려내고 먹어도 된다 VS 안 된다

신장에 좋은 음식 BEST 10

아침 커피 삶은 달걀만 있으면 OK

토마토에 '이것?' 함께 먹었더니..

비염에 좋은 음식 10가지

아스파라거스 효능과 손질법·보관법·활용법

불면증에 좋은 천연 수면제 3가지(감태·바나나·대추)

고혈압에 좋은 음식 BEST 10

 

쉽고 편한 별미 '달걀초밥' 만들기 및 달걀 구입법과 보관법

달걀 구입 요령과 보관 방법

깨지거나 이물질 없이 깨끗한 상태로 타원형을 띤 달걀을 고릅니다. 깨뜨렸을 때 흰자는 맑고 퍼짐이 덜하며, 노른자가 높고 탄력이 느껴진다면 신선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뾰족한 부분이 아래쪽이 되도록 냉장보관하되, 뚜껑을 덮어두면 중량 손실까지 막을 수 있습니다.

 

요리에 사용하는 달걀은 겉을 깨끗하고 마른 천으로 가볍게 닦아줍니다. 이때 세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오염 물질의 침입을 막아주는 껍질의 큐티클층까지 벗겨지면서 되레 신선도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달걀초밥 만들기

따로 특별한 재료를 준비하지 않아도 '뚝딱' 한 끼가 되고, 손님상에 올려도 좋을 만큼 멋진 달걀초밥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달걀초밥 만드는 재료 :

쌀 1컵(밥 1.5공기), 달걀 4개, 맛술 1큰술, 다시마 15×15cm 1장, 김밥용 김 1장, 무순 1/2줌, 소금 약간, 식용유 약간, 고추냉이 약간, 단촛물(식초 2큰술, 설탕 1큰술, 소금 0.3큰술)

 

1. 다시마 밥 만들기

다시마 한 쪽을 넣고 밥을 지으면 밥맛이 한결 좋아집니다. 평소에는 밥과 물을 같은 비율로 넣는데, 초밥용일 땐 밥 : 물 = : 0.8로 물을 조금 덜 넣고 고슬고슬하게 지어줍니다.

 

2. 밑간에 필요한 단촛물을 만듭니다.

배합비에 맞춰 설탕과 소금을 저어가며 잘 녹여줍니다.

TIP 단촛물은 식초 : 설탕 : 소금 = 2 : 1 : 0.3의 비율을 맞춰줍니다.

 

3. 무순은 깨끗이 씻고, 김은 폭 0.7cm × 길이 15cm로 잘라둡니다.

 

4. 갓 지어 따끈한 밥에 단촛물을 둘러줍니다. 

단촛물이 알알이 배도록 조금 기다려주면 더 맛있는 초밥을 맛볼 수 있습니다.

TIP 밥이 마르지 않도록 면포나 뚜껑을 덮어두는 게 좋습니다.

 

5. 달걀물 만들기

달걀을 체에 한 번 거르면 달걀물이 한결 부드러워집니다. 비린맛을 잡고 간을 맞추기 위해 맛술과 소금도 약간 넣어줍니다.

 

6. 달걀말이 만들기

기름을 두른 팬이 달궈지면 키친타월로 한 번 닦아냅니다. 기름이 살짝 묻은 팬에 달걀물의 절반만 부어줍니다. 약한 물로 익히는데, 바깥쪽부터 '살살' 걷어가며 말아줍니다. 여기에 달걀물을 더 부어가며 돌돌 말기를 반복해 두껍게 만들어주면 완성됩니다.

 

7. 달걀말이 썰기

김밥 발을 사용하면 더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뜨거울 때 통째로 올려서 '꾹꾹' 말아줘야 탄탄하게 모양이 잘 잡힙니다.

TIP 도톰하게 썰어줍니다. 단, 어슷썰기하면 초밥을 감싸는 달걀의 단면이 넓어져 더 예쁘게 만들 수 있습니다.

 

8. 밥 뭉치기

한 김 식힌 초밥은 적당히 덜어냅니다. 한 입 크기로 쥐어가며 단단하게 뭉쳐줍니다.

 

9. 초밥에 고추냉이를 취향껏 얹고 달걀과 무순을 올려 김을 둘러줍니다.

맛있는 달걀초밥 완성! 요즘처럼 종잡을 수 없는 날엔 새콤달콤 초밥이 입맛 살리는 데 제격입니다. 아이들도 좋아하는 달걀초밥, 간단하게 만들어 특별한 시간 즐겨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자료 = 농촌진흥청

 

 

 

 

 

 

 

그럼 여기까지 쉽고 편한 별미 '달걀초밥' 만들기 및 달걀 구입법과 보관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