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약재&약재&보양

영지버섯 가면을 쓴 독버섯?

by 니~킥 니~킥 2022. 3. 31.
반응형

안녕하세요 니~킥입니다.

 

 

날이 따뜻해지면서 산으로 들로 나들이 가시는 분들이 부쩍 많이 지는 계절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귀한 약용버섯인 영지버섯을 발견하여 그냥 섭취하면 큰일 난다고 합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 알아보겠습니다.

 

영지버섯 가면을 쓴 독버섯? '붉은사슴뿔버섯'

사진 = 농촌진흥청

위 사진이 영지버섯의 서식지인 참나무 고사목 지표 부근에 서식하며 영지버섯과 비슷해 혼동을 주는 독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이라고 합니다.

 

독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은 많은 사람들에게 혼동을 주어 독버섯에 중독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한다고 합니다.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환자수
(건수)
188(50) 17(5) 5(2) 2(2) 35(2) 74(17) 6(3) 32(8) 12(5) 5(1)
사망자수 14 - 2 - - 6 1 4 2 -

위의 자료가 2006년부터 9년간 발생한 독버섯 중독사고 현황이라고 합니다.(자료 = 농촌진흥청, 2014)

 

사망자 수와 환자 수가 2010년부터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중 붉은사슴뿔버섯에 이한 중독사고는 2012년도부터 5년간 서울, 인천, 김포, 고양 등 경기 지방 일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2013년 5월 강화에 사는 김 모 씨는 버섯 발생 시기에 수집해 말려놓은 약용버섯을 달여 먹고 재생불량성빈혈증 등 치명적인 중독 증상으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것은 바로 붉은사슴뿔버섯의 치명적인 독성 때문이라고 합니다.

 

붉은사슴뿔버섯은 1891년 러시아의 처음 보고된 T-2의 진균독소이며, 생화학 무기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곰팡이 독소 중 가장 맹독성인 '트리코테센'을 함유하고 있는 독버섯이라고 합니다.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과 석순자 박사는 "붉은사슴뿔버섯은 건장한 성인 남성이 소량(180ml 1잔)만 섭취해도 죽음에 이를 정도로 무서운 독을 가지고 있다."라고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무시무시한 붉은사슴뿔버섯이 얼마나 영지버섯과 닮았는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 = 농촌진흥청

왼쪽이 갓이 나오기 전의 야생 영지버섯이고 오른쪽이 붉은사슴뿔버섯이라고 합니다.

 

완숙 상태가 되면 영지버섯은 신장 모양의 갓을 형성하고, 붉은사슴뿔버섯은 성장해도 갓이 형성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 영지버섯의 갓은 담황색, 대는 황갈색이고 붉은사슴뿔버섯은 전체가 홍적색이라고 합니다.

 

이번에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사진 = 농촌진흥청

왼쪽이 야생 영지버섯이고, 오른쪽이 역시 붉은사슴뿔버섯이라고 합니다.

 

두 버섯의 모두 어린 시기에는 공통적으로 손가락 모양의 분지가 있지만, 영지버섯의 분지는 뭉툭하거나 녹각의 형태이고, 붉은사슴뿔버섯은 원통형의 손가락 모양입니다.

 

그렇다면 또, 다시 비교해 보겠습니다.

사진 = 농촌진흥청

이번에도 역시 왼쪽이 영지버섯이고, 오른쪽이 붉은사슴뿔버섯이라고 합니다.

 

건조 시에 영지버섯의 갓은 황갈색이고 대는 진갈색입니다. 하지만, 붉은사슴뿔버섯은 전체가 진갈색이라고 합니다. 영지버섯은 가죽질로 질기며 찢어지고, 붉은사슴뿔버섯은 단단하지만 똑똑 부러진다고 합니다.

 

이제는 좀 구분이 되시나요?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과 석순자 박사는 "붉은사슴뿔버섯과 영지버섯은 겉모습으로 일반인이 구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영지버섯과 비슷한 야생버섯을 함부로 채취해 전문가 확인 없이 복용하는 것은 삼가해야 한다."라고 말하며 "특히, 어린 시기, 건조된 상태에서는 어린 영지버섯이나 녹각영지와 모양, 색깔이 매우 비슷하니 조심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고 합니다.

 

자료 = 농촌진흥청(http://blog.daum.net/rda2448/6979090)

 

 

 

 

 

 

그럼 여기까지 영지버섯 가면을 쓴 독버섯 '붉은사슴뿔버섯'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